개요
일정한 온도로 연중 무휴 유지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고가의 장비를 보호하고 스튜디오와 같은 소음 규제 지역은 DUCT 및 소음 기구를 사용하여 최상의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설계시 고려사항
- 설계시 실내부의 층간 높이를 고려해서 소음기 및 덕트를 설계해야 한다 .
- 스튜디오는 저소음을 목적으로 함으로 층간 높이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흡입 및 취츨 풍속이 2M/S를 초과 하지 말아야 한다.
- 실내 전열 부하 계산시 조명 발열량을 충분히 고려 해서 설계해야 한다.
- 스튜디오 적정 소음기준치를 초과 하지 않게 메인 덕트 및 흡입 및 취출 구간에 소음기를 설치 해야 한다.
- 벽체 관통 부위에 적정 소음기를 설치해서 스튜디오와 건축구조물 사이에 소음을 차음 할수 있는 구조로 설계해야 한다.



방송 지역과 일반 지역 공조 비교
조건 | 일반 사무실 | STUDIO | 조정실 및 기타지역 |
---|---|---|---|
온도 | 25 - 26℃ 3±℃ | 22 - 23℃ 2±℃ | 22℃ 2±℃ |
상대습도 | 50%RH± 5%RH | 50%RH± 5%RH | |
현열비 | 0.67 - 0.75 | 0.67 - 0.75 | 0.90 - 0.98 |
열부하 밀도(㎡/Ton) | 18 - 37 | 18 - 37 | 5 - 10 |
환기량(CMM/Ton) | 10 - 11.7 | 16 - 20 | 16 - 17.5 |
환기 횟수 | 2회/H | 15회/ H | 30회/ H |
공기 유동 | 상부 DUCT 토출 | 상부 DUCT 토출 | 상부/바닥 DUCT 토출 |
공기 여과 | 일반 FILTER | 고효율 FILTER | 고효율 FILTER |
공기 조절 | 냉난방 별도 조절 | 냉난방 자동 조절 | 냉난방 자동 조절 |
공조기 이용시간/일 | 8 시간 | 24 시간 | 24 시간 |
경보 및 감시 설비 | 필요 | 필수적 필요 | 필수적 필요 |